정봉기목사
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목사가 되기를 원합니다.
정봉기 목사의 관심은 온통 교회와 성도들에게 있다.
어떻게 바르고 건강한 교회를 세울 것인가?
교회가 본질적인 사명을 어떻게 감당하며 역동적인 교회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을까?
성도들이 어떻게 진정한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되어서 삶의 처소에서 예배자, 전도자, 봉사자, 치유자가 될 것인가?
어떻게 진정으로 변화된 성도의 모습으로 세울 것인가? 많은 고민을 가지고 있다.
이를 위해 예배 증거 교육에 중점을 두고, 한 사람 한 사람을 세워가기를 원하고 있다.
우리나라의 땅끝, 해남에서 다른 사람의 농사를 짓는 가난한 농부의 아들이었다.
동네에 초가집의 교회가 세워지고 어머니는 결혼전부터 그 교회에 다니셨다.
자연스럽게 모태신앙이 되었지만, 우리 집안의 신앙생활은 순탄하지 않았다.
문중의 제사를 거부하게 되었고, 그로 인하여 말할 수 없는 핍박을 받게 되었다.
집과 전답, 모든 것을 빼앗겼다. 아니 예수님과 바꾸었다고 말할 수 있다.
거할 곳이 없이 길거리에 나오기도 했다. 교인이 제공해주는 방 한칸에서 살고, 온갖 협박과 죽음의 위기, 어머니의 유산으로 인한 동네 사람들의 악담
저 집은 예수 때문에 망했다"는 소리, 하지만, 우리는 "모든 것을 다 잃더라도 예수만을 잃어버리지 말자" 라는 자세로 그 환난과 핍박을 견뎌냈다.
어린 시절, 이 모습을 보며 자라면서 내 안에는 복수심이 불탔다.
그러던 어느날 그렇게 핍박했던 문중 가정의 자녀가 예배의 자리에 있었다. 수많은 생각과 이유를 알 수 없는 눈물을 흘리면서 복수심이 사라지게 되었다.
그러던 중 고등학교를 졸업하기전 하나님의 강권하신 이끄심으로 부름을 받게 된다.
모교회에서는 이미 하나님의 종이 되도록 기도하고 있었다.
신학을 공부하면서 교회는 일차적으로 지역교회로서 지역사회를 이끌어 갈 수 있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는 확신에 그 도구로 사회복지를 공부하게 된다.
하나님의 마음에 합당한 목사가 되기를 소망하며, 사람을 기쁘게 하는 목사보다는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목사, 하나님의 기쁨의 존재가 되기를 무엇보다도 소망하고 있다.
목회철학은 교회론에 바탕을 둔 목회철학이라고 말할 수 있다..
교회의 정의는 세상에서 부름받은 하나님의 백성들의 공동체이며 동시에 세상에 보냄받은 공동체이다.
즉 세상에서 부름받은 성도들을 주님의 제자로 세워 세상속에 보내며, 이들을 통해 바르고 건강한 교회를 세우는 것이다.
여기에는 두 가지의 의미를 담고 있다.
첫째, 부름받은 성도들을 주님의 제자로 세우는 것이다. 말씀과 성령의 사역을 통해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작업이다.
둘째, 부름받은 성도들로 하여금 세상속에서 예수님의 사역을 계승하게 하는 것이다. 즉 예배자, 증거자, 봉사자로 세우는 것이다.
이를 위해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은 예배, 증거, 교육이다. 이것이 교회의 존재목적이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.
아울러 전인적목회, 교육적목회, 균형적목회를 추구하고자 한다.
어떻게 바르고 건강한 교회를 세울 것인가?
교회가 본질적인 사명을 어떻게 감당하며 역동적인 교회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을까?
성도들이 어떻게 진정한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되어서 삶의 처소에서 예배자, 전도자, 봉사자, 치유자가 될 것인가?
어떻게 진정으로 변화된 성도의 모습으로 세울 것인가? 많은 고민을 가지고 있다.
이를 위해 예배 증거 교육에 중점을 두고, 한 사람 한 사람을 세워가기를 원하고 있다.
우리나라의 땅끝, 해남에서 다른 사람의 농사를 짓는 가난한 농부의 아들이었다.
동네에 초가집의 교회가 세워지고 어머니는 결혼전부터 그 교회에 다니셨다.
자연스럽게 모태신앙이 되었지만, 우리 집안의 신앙생활은 순탄하지 않았다.
문중의 제사를 거부하게 되었고, 그로 인하여 말할 수 없는 핍박을 받게 되었다.
집과 전답, 모든 것을 빼앗겼다. 아니 예수님과 바꾸었다고 말할 수 있다.
거할 곳이 없이 길거리에 나오기도 했다. 교인이 제공해주는 방 한칸에서 살고, 온갖 협박과 죽음의 위기, 어머니의 유산으로 인한 동네 사람들의 악담
저 집은 예수 때문에 망했다"는 소리, 하지만, 우리는 "모든 것을 다 잃더라도 예수만을 잃어버리지 말자" 라는 자세로 그 환난과 핍박을 견뎌냈다.
어린 시절, 이 모습을 보며 자라면서 내 안에는 복수심이 불탔다.
그러던 어느날 그렇게 핍박했던 문중 가정의 자녀가 예배의 자리에 있었다. 수많은 생각과 이유를 알 수 없는 눈물을 흘리면서 복수심이 사라지게 되었다.
그러던 중 고등학교를 졸업하기전 하나님의 강권하신 이끄심으로 부름을 받게 된다.
모교회에서는 이미 하나님의 종이 되도록 기도하고 있었다.
신학을 공부하면서 교회는 일차적으로 지역교회로서 지역사회를 이끌어 갈 수 있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는 확신에 그 도구로 사회복지를 공부하게 된다.
하나님의 마음에 합당한 목사가 되기를 소망하며, 사람을 기쁘게 하는 목사보다는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목사, 하나님의 기쁨의 존재가 되기를 무엇보다도 소망하고 있다.
목회철학은 교회론에 바탕을 둔 목회철학이라고 말할 수 있다..
교회의 정의는 세상에서 부름받은 하나님의 백성들의 공동체이며 동시에 세상에 보냄받은 공동체이다.
즉 세상에서 부름받은 성도들을 주님의 제자로 세워 세상속에 보내며, 이들을 통해 바르고 건강한 교회를 세우는 것이다.
여기에는 두 가지의 의미를 담고 있다.
첫째, 부름받은 성도들을 주님의 제자로 세우는 것이다. 말씀과 성령의 사역을 통해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작업이다.
둘째, 부름받은 성도들로 하여금 세상속에서 예수님의 사역을 계승하게 하는 것이다. 즉 예배자, 증거자, 봉사자로 세우는 것이다.
이를 위해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은 예배, 증거, 교육이다. 이것이 교회의 존재목적이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.
아울러 전인적목회, 교육적목회, 균형적목회를 추구하고자 한다.

정봉기 담임목사
<학력>
• 칼빈신학교 신학과 졸업
• 한국성서대학교 선교학과 졸업
•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
•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졸업
• 평택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수료
<교회>
• 예은교회 교육전도사(황동노회)
• 영동제일교회(동서울노회) 전도사, 강도사, 부목사
• (현) 충일교회(수도노회) 담임목사
<외부활동>
• (전) 생명의 전화 상담
• (전) 동원대학교 강사(사회복지행정, 정신건강론)
• (전) 한국사회복지평생교육원 운영교수(사회복지개론)
• (전) 사회복지법인 씨엘 외부이사
• (전) 국방부 대대급 인성교육 전문강사
• (현) 국방부 대대급, 전방, 학군단 민간정신전력교육 강사
• (현) 사회복지재단 캠프힐 마을, 무진복재재단 외부이사
• (현) 아이비원격평생교육원 운영교수(사회복지개론,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)
• (현)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서울센터 강사
• (현) 미사강변요양보호사교육원 강의
• 칼빈신학교 신학과 졸업
• 한국성서대학교 선교학과 졸업
•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
•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졸업
• 평택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수료
<교회>
• 예은교회 교육전도사(황동노회)
• 영동제일교회(동서울노회) 전도사, 강도사, 부목사
• (현) 충일교회(수도노회) 담임목사
<외부활동>
• (전) 생명의 전화 상담
• (전) 동원대학교 강사(사회복지행정, 정신건강론)
• (전) 한국사회복지평생교육원 운영교수(사회복지개론)
• (전) 사회복지법인 씨엘 외부이사
• (전) 국방부 대대급 인성교육 전문강사
• (현) 국방부 대대급, 전방, 학군단 민간정신전력교육 강사
• (현) 사회복지재단 캠프힐 마을, 무진복재재단 외부이사
• (현) 아이비원격평생교육원 운영교수(사회복지개론,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)
• (현)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서울센터 강사
• (현) 미사강변요양보호사교육원 강의